매일 타고나니는 서울 시내버스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? 나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파란버스 초록버스를 타고 있지만 버스마다 규칙이 다 있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 서울 시내버스 종류 요금 및 환승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게습니다.
목차
서울시내버스1 – 종류 서울시내버스2 – 요금 서울시내버스3 – 요금 부과 방식 서울시내버스4 – 환승 규칙 |
목차
서울시내버스1 – 종류
간선버스(파랑)
- 동네와 도시를 연계를 주로 하는 버스
- 직선 거리로 하여 빠른 운행을 목적(신속성, 정시성 확보)
지선버스(초록)
- 동네 안에서 여러 지점을 운행
- 그렇기 때문에 굴곡 운행을 주로 함
- 간선버스와 지하철과의 환승이 주된 목적(접근성 확보)
마을버스(초록)
- 지선버스의 보조역할
- 동네 안에서 가까운 정류소와 지하철을 연계 목적
광역버스(빨강)
- 서울과 수도권을 연계 운행
순환버스(노랑)
- 종착치가 따로 없이 계속 고리모양으로 순환 운행
- 대게 도심과 부도심 내에서 특정 지역에서 단거리 운행 목적
- 쇼핑객이나 업무를 하는 사람들을 위한 목적
서울시내버스2 – 요금
서울 시내버스 요금은 카드와 현금, 그리고 조조할인 가격이 다 다릅니다. 조조할인은 오전 6시 30분 전까지는 기본요금의 20%를 할인해줍니다. 아래 표는 23년 8월 12일 기준의 버스요금입니다.
서울시내버스3 – 요금부과방식
10km까지는 기본요금이며 이후 5km마다 100원씩 추가요금이 붙음
서울시내버스4 – 환승 규칙
- 하차 태그(필수) 후 30분 내에는 다른 버스로 환승 가능
- 저녁 9시~오전7시에는 1시간 내에 환승 가능
- 여러명이 한번에 태그시 ,동일 인원으로 환승 가능
- 동일 버스로는 환승 불가능
- 버스 ⇒ 지하철 로는 환승 불가능
- 4회환승(5회승차)까지만 환승 가능